본문 바로가기

쓰기

218.*.202.* 조회 수 0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무 뻔해서 굳이 써야되는지 모르겠음..각설하고.

1. 하나를 깊게 파는 것이 아니라 회독 수를 늘릴 것

 

다른 법학분야도 그러하지만, 특히 민법은 민사소송법, 민사집행법 지식이 없으면 온전히 이해하기가 힘듬.민법 그 자체도 민총, 물권, 채권 전반을 알고 있어야만 하나의 쟁점이 온전히 이해가 감.일례로 2010다28604 전원합의체 판결을 보자. 판시내용의 요지는 다음과 같음."소유자가 자신의 소유권에 기하여 실체관계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등기의 명의인을 상대로 그 등기말소나 진정명의회복 등을 청구하는 경우에, 그 권리는 물권적 청구권으로서의 방해배제청구권(민법 제214조)의 성질을 가진다. 그러므로 소유자가 그 후에 소유권을 상실함으로써 이제 등기말소 등을 청구할 수 없게 되었다면, 이를 위와 같은 청구권의 실현이 객관적으로 불능이 되었다고 파악하여 등기말소 등 의무자에 대하여 그 권리의 이행불능을 이유로 민법 제390조상의 손해배상청구권을 가진다고 말할 수 없다. 위 법규정에서 정하는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하는 손해배상청구권은 계약 또는 법률에 기하여 이미 성립하여 있는 채권관계에서 본래의 채권이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그 내용이 확장되거나 변경된 것으로서 발생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등기말소청구권 등의 물권적 청구권은 그 권리자인 소유자가 소유권을 상실하면 이제 그 발생의 기반이 아예 없게 되어 더 이상 그 존재 자체가 인정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이러한 법리는 선행소송에서 소유권보존등기의 말소등기청구가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청구권의 법적 성질이 채권적 청구권으로 바뀌지 아니하므로 마찬가지이다."

전문을 읽어 보면 알겠지만, 이 하나의 판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1) 물권과 채권의 차이, 2) 물권적 청구권과 채권적 청구권의 차이, 3) 소유권보존등기 경료의 의미, 4) 소유자의 방해배제청구권의 요건, 5) 진정명의회복등기청구의 요건, 6) 등기부취득시효의 의의, 요건, 효과, 7) 이행불능의 의의, 요건, 효과, 8) 전보배상 의미 및 인정 취지 9) 기판력의 범위 등 민법, 민사소송법의 여러 쟁점의 기본적인 내용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함. 이와 같이 하나의 판례만 해도 민법, 민사소송법의 여러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런점때문에 민법이 어려운 것임.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답 나오지? 모르는 쟁점을 깊게 파는 것이 아니라 가급적 처음부터 끝까지 최대한 빨리 '회독 수'를 늘리면서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

왜 조문을 먼저 강조하냐면 판례는 결국 조문의 내용에 대한 해석 또는 조문에 포섭되지 않는 사실관계에 대한 해석이기 때문에 결국 조문 내용의 이해가 선행되지 않으면 아무리 판례를 공부한다 한들 사상누각일 수밖에 없음.

 

 

2. 중기적인 목표 - 요건사실론의 이해 및 암기

실무도 그러하지만, 사례 및 기록문제 푸는 경우에도 사실관계 및 쟁점을 원고의 주장 - 피고의 항변 - 원고의 재항변 ~~과 같은 입증책임에 따른 주장-항변 구조로 논리구조를 잡고 답안을 쓸 수밖에 없음.요건사실론을 이해하고 우선 암기해 두어야 민법 쟁점의 구조도 암기가 잘 되고, 어떠한 판례가 어느 쟁점에서 문제가 되는 것인지도 파악이 편해져서 판례 암기도 수월하며, 기록형에서 어떤 사실관계를 답안지에 박아야 하는것까지 알 수 있게 됨.아직 요건사실론이 뭔지도 모르는 사람들 많을텐데, 민법의 내용을 주장항변 구조로 정리한 것이라고 대충 이해하면 됨. 나중에 요건사실론 책은 민사소송법 아직 안배웠더라도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보며 감을 잡기를 권하고, 민소법에서 변론주의까지 배운 다음 가급적 빨리 요건사실론 책을 철저히 암기하길 권함.

 

 

3, 사례와 기록 공부 방법론

이는 '어떻게 하면 사례와 기록을 준비할지'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어떻게 하면 풀 수 있을지'를 고민해 보면 쉽게 방향이 나옴.사례, 기록문제는 정말 단순하게 말하면 '답을 시간안에 쓴다'면 고득점이 나오는 구조임.역으로 말하면 1) 답이 정확하지 않거나 2) 시간관리를 못하는 문제가 고득점으로 못가는 가장 흔한 이유이고.

다시 1) 답이 정확하지 않은 이유를 세분화하자면 아래와 같음

1-1) 문제의 쟁점을 잘못 잡았거나 누락함

1-2) 논리적인 서술구조가 잘못됨

1-3) 조문, 판례, 학설을 제대로 적시하지 못함

1-4) 사실관계 포섭을 제대로 하지 못함

이에 대한 대응책을 간략히 정리하면

1-1) 요건사실론 이해 및 암기, 사례 및 기록 문제 풀이 시 '어떠한 사실관계에서 어떠한 쟁점이 도출되는지'를 잘 분석하기

1-2) 요건사실론 이해 및 암기, 사례 및 기록 문제 풀이 시 '서술의 논리적 흐름이 무엇인지' 를 공부하기. 필요하다면 목차를 외우기1-3) 평소에 법전에서 조문 내용을 일일히 읽어 두고 빈번히 사용되는 중요 조문들은 조문번호까지 외우기, 학설과 판례 내용을 이해하고 핵심적인 논거를 두문자 또는 키워드로 철저히 암기해 두기.1-4) 문제의 사실관계에 대한 분석과 사례집 답안의 포섭 방식을 연구하기

라 할 것임

 

그리고 2) 시간 안에 못쓰는 문제는2-1) 글쓰는 속도 자체가 느림.

2-2) 쟁점을 잡고 목차를 구성하는 속도가 느림.2-3) 앞에서 길게쓰고 뒤에서 날리는 등 시간배분을 못함.으로 세분화 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은2-1) 고시체 등 글씨체 연습 - 사실 필자가 동기들과 스터디를 계속 해본 결과 글쓰는 속도 자체가 느려서 답안을 다 못채우는 일은 거의 없음.2-2) 위 1-1) 및 1-2)의 해결방법과 같음. 의외로 조문을 제때 못찾아 5~10분 거저 날리는 경우도 많으니 꼭 조문 위치는 대충 파악해 둘것을 누차 강조함.

2-3) 답안을 주어진 시간 안에 배점에 따라 구성하는 연습.이렇게 됨.

 

4. 맺음말

 

위와 같은 내용들을 염두에 두다 보면 공부하는 내용 중 암기할 것과 이해할 것, 사례나 기록 문제를 풀면서 훈련해야 할 것이 무엇일지 감이 올거임

나도 이런식으로 조언받아서 사례 기록형은 항상 잘봤고, 이거 알려준 후배들도 대부분 성적도 좋았음.신입생 여러분들한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함.

 

참고로 학점 잘따는 것은 조금 다를 수 있음 그건 진짜 교수가 강의하는 것 토씨하나 안틀리고 녹취록을 만들어 놓은 뒤 족보 구하고 예상문제 답안 만들어서 통으로 외워버리는게 굉장히 효율적인듯.

 

?
  • ?
    123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사랑합니다 선배님
  • ?
    ㅁㄴㅇ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의식의 흐름으로 쓰다보니 비문이랑 오타가 많은데 알아서 잘 이해하시길 바람
  • ?
    ㄱㄱㄱ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정성글 추
  • ?
    ㅁㄴㅇ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참고로 형사법이랑 공법도 크게 다르진 않음. 민사법에서의 주장-항변 구조가 형법에서는 구성요건-위법성-책임의 범죄체계론의 이해와 형법각론-특별형법의 규정체계로 문제가 되는 것이고, 공법은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소송요건-본안요건에 거친 판단구조(헌법과 행정법의 경우 전문판례를 분석해 보는 것만으로도 사례형 기록형 대비에 아주 도움됨)의 문제로 변하는 것임
  • ?
    ㅇㅁ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2-1 생각보다 중요하다 물론 못채우진않아근데 이미 빨라서 5~10분은 더 여유롭게 푸는애랑 비교해보면 진짜 스스로 답답하긴함 글씨속도 느린편이라면 속도 연습 고시체 중요하다
  • ?
    울산요시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이거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화제의 글 로입 도전을 망설이는 애들아 6 new ㅇㅇ 2025.11.05 0
화제의 글 로입이 쉬워 보이긴 하나보다 8 new ㅇㅇ 2025.11.05 0
화제의 글 14기로 돌아가면 선행할때 유의할것 8 new ㅇㅇ 2025.11.05 0
화제의 글 변호사 연봉 과대평가ㄴㄴ 찐현실 알려줌 18 new ㅇㅇ 2025.11.05 0
화제의 글 로스쿨 가면 여친 생기냐는 말이 너무 우수운게 12 new ㅇㅇ 2025.11.05 0
732 돈없는 사람들 입시까지 팁 3 new ㅇㅇ 2025.10.28 1
731 팩트) 일반인한테 가서 "저 노.무사인데요"라고 할 때.. 1 new ㅇㅇ 2025.10.28 1
730 [노무현] newfile ㅇㅇ 2025.10.28 1
729 로갤 분탕러의 일생.jpg 2 newfile ㅇㅇ 2025.10.28 1
728 (학부생용) 20년 기준 로스쿨 인가대 학부개설 법학강의 목록 16 newfile ㅇㅇ 2025.10.28 1
727 로스쿨은 애매하게 아는 ㅎㅌㅊ애들이 더 많이 깜 3 new ㅇㅇ 2025.10.28 2
726 근데 변시 초시합 75퍼대는 진짜 교대급 아니냐? newfile ㅇㅇ 2025.10.28 1
725 2020학년도 로스쿨 신입생 전공 통계.txt 11 new ㅇㅇ 2025.10.28 1
724 로스쿨에 대한 편견은 로스쿨 입시 한 번 겪어보면 사라짐 10 newfile ㅇㅇ 2025.10.28 3
723 ]공공부문 근무하는 현직자가 보는 회사vs로스쿨 2편 (근무여건) 7 new ㅇㅇ 2025.10.28 1
722 요새 문과 최상위권도 취업이 어려운 현실이다. 진짜 정신차려라 6 new ㅇㅇ 2025.10.28 3
721 성로 정량 물어보는 글들 많아서 정리해줌 2 newfile ㅇㅇ 2025.10.28 1
720 솔직히 학벌은 학부가 메인이지 2 new ㅇㅇ 2025.10.28 1
719 준비생들은 이거나보고가 6 newfile ㅇㅇ 2025.10.28 1
718 부로재학생인데 동기랑 저녁먹다가 부훌누군지알았음 2 new ㅇㅇ 2025.10.28 2
717 한로는 입결만봐도 씹망 7 new ㅇㅇ 2025.10.28 2
716 부산대 로스쿨? 그래서 부산대에 오리있냐??? ㅋㅋㅋㅋ.jpg 9 newfile ㅇㅇ 2025.10.28 2
715 근데 로스쿨 비교글이 뭐가문제임;; 1 new ㅇㅇ 2025.10.28 1
714 고훌 연훌들 두얼굴 보소ㅋ성로 깔때는 물개 박수치고 즐기다가 부훌이 고로 1 new ㅇㅇ 2025.10.28 2
713 부로 동기후배들아 6 new ㅇㅇ 2025.10.28 1
712 씨발 합격률 50퍼대 시험이라고 노무사 보다 쉽다 하는게 인식이네 21 new ㅇㅇ 2025.10.28 4
711 서울대내 로스쿨 인식 알려줌 17 new ㅇㅇ 2025.10.28 2
710 의사+변호사+변리사 삼도류 나옴 ㄷㄷ 2 newfile ㅇㅇ 2025.10.28 1
709 동기중에 변시떨어지는 애들 보면 대부분 공부 어지간히 안한 사람들인데 5 new ㅇㅇ 2025.10.28 1
708 8회 변시 초시합격률 7 newfile ㅇㅇ 2025.10.28 1
707 1800명이면 사실상 다 합격시켜주는거 4 new ㅇㅇ 2025.10.28 1
706 근데 까놓고 변시 못붙으면 로스쿨 시간낭비임 6 new ㅇㅇ 2025.10.28 1
705 사시 몇 번 떨어지면 하는 게 법대교수였는데 3 new ㅇㅇ 2025.10.28 1
704 변협에서 로스쿨순위 공식 발표 6 newfile ㅇㅇ 2025.10.28 1
703 드디어 내일 변시 발표나네 4 new ㅇㅇ 2025.10.28 1
702 서성한로는 뭔소리냐 대체 2 new ㅇㅇ 2025.10.28 1
701 루터대, 한라대, 고구려대 쓴 놈 봐라 1 newfile ㅇㅇ 2025.10.28 2
700 나이 관련해서 늦은게 아닌가 싶은 친구들은 2 new ㅇㅇ 2025.10.28 1
699 37살 38살에 변호사되면 인생 낙오자라는 글 6 new ㅇㅇ 2025.10.28 1
698 방통로가 왜 불가능하다는거? 2 new ㅇㅇ 2025.10.28 1
697 여기는 현직자는 커녕 재학생도 없는거 같다. 4 new ㅇㅇ 2025.10.28 0
696 로스쿨이 인생 떨거지들 구제해주는곳인줄 아나 1 new ㅇㅇ 2025.10.28 1
695 2020 나군 입시결과 gpa+릿 (ver.1) 11 newfile ㅇㅇ 2025.10.28 1
694 고파스 기준 로스쿨 선호 비교 2 new ㅇㅇ 2025.10.28 1
693 다들 입시결과 보고 착각하는게 있는데.. 4 new ㅇㅇ 2025.10.28 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68 Next
/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