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기

218.*.202.* 조회 수 0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무 뻔해서 굳이 써야되는지 모르겠음..각설하고.

1. 하나를 깊게 파는 것이 아니라 회독 수를 늘릴 것

 

다른 법학분야도 그러하지만, 특히 민법은 민사소송법, 민사집행법 지식이 없으면 온전히 이해하기가 힘듬.민법 그 자체도 민총, 물권, 채권 전반을 알고 있어야만 하나의 쟁점이 온전히 이해가 감.일례로 2010다28604 전원합의체 판결을 보자. 판시내용의 요지는 다음과 같음."소유자가 자신의 소유권에 기하여 실체관계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등기의 명의인을 상대로 그 등기말소나 진정명의회복 등을 청구하는 경우에, 그 권리는 물권적 청구권으로서의 방해배제청구권(민법 제214조)의 성질을 가진다. 그러므로 소유자가 그 후에 소유권을 상실함으로써 이제 등기말소 등을 청구할 수 없게 되었다면, 이를 위와 같은 청구권의 실현이 객관적으로 불능이 되었다고 파악하여 등기말소 등 의무자에 대하여 그 권리의 이행불능을 이유로 민법 제390조상의 손해배상청구권을 가진다고 말할 수 없다. 위 법규정에서 정하는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하는 손해배상청구권은 계약 또는 법률에 기하여 이미 성립하여 있는 채권관계에서 본래의 채권이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그 내용이 확장되거나 변경된 것으로서 발생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등기말소청구권 등의 물권적 청구권은 그 권리자인 소유자가 소유권을 상실하면 이제 그 발생의 기반이 아예 없게 되어 더 이상 그 존재 자체가 인정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이러한 법리는 선행소송에서 소유권보존등기의 말소등기청구가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청구권의 법적 성질이 채권적 청구권으로 바뀌지 아니하므로 마찬가지이다."

전문을 읽어 보면 알겠지만, 이 하나의 판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1) 물권과 채권의 차이, 2) 물권적 청구권과 채권적 청구권의 차이, 3) 소유권보존등기 경료의 의미, 4) 소유자의 방해배제청구권의 요건, 5) 진정명의회복등기청구의 요건, 6) 등기부취득시효의 의의, 요건, 효과, 7) 이행불능의 의의, 요건, 효과, 8) 전보배상 의미 및 인정 취지 9) 기판력의 범위 등 민법, 민사소송법의 여러 쟁점의 기본적인 내용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함. 이와 같이 하나의 판례만 해도 민법, 민사소송법의 여러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런점때문에 민법이 어려운 것임.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답 나오지? 모르는 쟁점을 깊게 파는 것이 아니라 가급적 처음부터 끝까지 최대한 빨리 '회독 수'를 늘리면서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

왜 조문을 먼저 강조하냐면 판례는 결국 조문의 내용에 대한 해석 또는 조문에 포섭되지 않는 사실관계에 대한 해석이기 때문에 결국 조문 내용의 이해가 선행되지 않으면 아무리 판례를 공부한다 한들 사상누각일 수밖에 없음.

 

 

2. 중기적인 목표 - 요건사실론의 이해 및 암기

실무도 그러하지만, 사례 및 기록문제 푸는 경우에도 사실관계 및 쟁점을 원고의 주장 - 피고의 항변 - 원고의 재항변 ~~과 같은 입증책임에 따른 주장-항변 구조로 논리구조를 잡고 답안을 쓸 수밖에 없음.요건사실론을 이해하고 우선 암기해 두어야 민법 쟁점의 구조도 암기가 잘 되고, 어떠한 판례가 어느 쟁점에서 문제가 되는 것인지도 파악이 편해져서 판례 암기도 수월하며, 기록형에서 어떤 사실관계를 답안지에 박아야 하는것까지 알 수 있게 됨.아직 요건사실론이 뭔지도 모르는 사람들 많을텐데, 민법의 내용을 주장항변 구조로 정리한 것이라고 대충 이해하면 됨. 나중에 요건사실론 책은 민사소송법 아직 안배웠더라도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보며 감을 잡기를 권하고, 민소법에서 변론주의까지 배운 다음 가급적 빨리 요건사실론 책을 철저히 암기하길 권함.

 

 

3, 사례와 기록 공부 방법론

이는 '어떻게 하면 사례와 기록을 준비할지'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어떻게 하면 풀 수 있을지'를 고민해 보면 쉽게 방향이 나옴.사례, 기록문제는 정말 단순하게 말하면 '답을 시간안에 쓴다'면 고득점이 나오는 구조임.역으로 말하면 1) 답이 정확하지 않거나 2) 시간관리를 못하는 문제가 고득점으로 못가는 가장 흔한 이유이고.

다시 1) 답이 정확하지 않은 이유를 세분화하자면 아래와 같음

1-1) 문제의 쟁점을 잘못 잡았거나 누락함

1-2) 논리적인 서술구조가 잘못됨

1-3) 조문, 판례, 학설을 제대로 적시하지 못함

1-4) 사실관계 포섭을 제대로 하지 못함

이에 대한 대응책을 간략히 정리하면

1-1) 요건사실론 이해 및 암기, 사례 및 기록 문제 풀이 시 '어떠한 사실관계에서 어떠한 쟁점이 도출되는지'를 잘 분석하기

1-2) 요건사실론 이해 및 암기, 사례 및 기록 문제 풀이 시 '서술의 논리적 흐름이 무엇인지' 를 공부하기. 필요하다면 목차를 외우기1-3) 평소에 법전에서 조문 내용을 일일히 읽어 두고 빈번히 사용되는 중요 조문들은 조문번호까지 외우기, 학설과 판례 내용을 이해하고 핵심적인 논거를 두문자 또는 키워드로 철저히 암기해 두기.1-4) 문제의 사실관계에 대한 분석과 사례집 답안의 포섭 방식을 연구하기

라 할 것임

 

그리고 2) 시간 안에 못쓰는 문제는2-1) 글쓰는 속도 자체가 느림.

2-2) 쟁점을 잡고 목차를 구성하는 속도가 느림.2-3) 앞에서 길게쓰고 뒤에서 날리는 등 시간배분을 못함.으로 세분화 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은2-1) 고시체 등 글씨체 연습 - 사실 필자가 동기들과 스터디를 계속 해본 결과 글쓰는 속도 자체가 느려서 답안을 다 못채우는 일은 거의 없음.2-2) 위 1-1) 및 1-2)의 해결방법과 같음. 의외로 조문을 제때 못찾아 5~10분 거저 날리는 경우도 많으니 꼭 조문 위치는 대충 파악해 둘것을 누차 강조함.

2-3) 답안을 주어진 시간 안에 배점에 따라 구성하는 연습.이렇게 됨.

 

4. 맺음말

 

위와 같은 내용들을 염두에 두다 보면 공부하는 내용 중 암기할 것과 이해할 것, 사례나 기록 문제를 풀면서 훈련해야 할 것이 무엇일지 감이 올거임

나도 이런식으로 조언받아서 사례 기록형은 항상 잘봤고, 이거 알려준 후배들도 대부분 성적도 좋았음.신입생 여러분들한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함.

 

참고로 학점 잘따는 것은 조금 다를 수 있음 그건 진짜 교수가 강의하는 것 토씨하나 안틀리고 녹취록을 만들어 놓은 뒤 족보 구하고 예상문제 답안 만들어서 통으로 외워버리는게 굉장히 효율적인듯.

 

?
  • ?
    123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사랑합니다 선배님
  • ?
    ㅁㄴㅇ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의식의 흐름으로 쓰다보니 비문이랑 오타가 많은데 알아서 잘 이해하시길 바람
  • ?
    ㄱㄱㄱ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정성글 추
  • ?
    ㅁㄴㅇ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참고로 형사법이랑 공법도 크게 다르진 않음. 민사법에서의 주장-항변 구조가 형법에서는 구성요건-위법성-책임의 범죄체계론의 이해와 형법각론-특별형법의 규정체계로 문제가 되는 것이고, 공법은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소송요건-본안요건에 거친 판단구조(헌법과 행정법의 경우 전문판례를 분석해 보는 것만으로도 사례형 기록형 대비에 아주 도움됨)의 문제로 변하는 것임
  • ?
    ㅇㅁ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2-1 생각보다 중요하다 물론 못채우진않아근데 이미 빨라서 5~10분은 더 여유롭게 푸는애랑 비교해보면 진짜 스스로 답답하긴함 글씨속도 느린편이라면 속도 연습 고시체 중요하다
  • ?
    울산요시 5시간 전 (218.*.202.*) 작성자
    이거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화제의 글 14기로 돌아가면 선행할때 유의할것 8 new ㅇㅇ 2025.11.05 0
화제의 글 변호사 연봉 과대평가ㄴㄴ 찐현실 알려줌 18 new ㅇㅇ 2025.11.05 0
화제의 글 로스쿨 가면 여친 생기냐는 말이 너무 우수운게 12 new ㅇㅇ 2025.11.05 0
화제의 글 ky에서 지거국 대형 중 하나 가는데 10 new ㅇㅇ 2025.11.05 0
화제의 글 유동닉의 변시 준비일기 D-27 6 newfile ㅇㅇ 2025.11.05 0
2368 로클럭 중에서도 1등만 간다는 대법원 로클럭 스펙 7 newfile ㅇㅇ 2025.11.04 1
2367 면스에 말끝마다 저는 지방인재여서~ 하는 누나 떨어졌네 13 new ㅇㅇ 2025.11.04 1
2366 로입에서 인지부조화 젤 심한 학벌 9 new ㅇㅇ 2025.11.04 1
2365 전남대 2배수 1차 탈 6 new ㅇㅇ 2025.11.04 1
2364 민법배우기 파딱 해임 건의합니다. 8 new ㅇㅇ 2025.11.04 0
2363 로갤에 정신병자 어그로 많네 3 new ㅇㅇ 2025.11.04 0
2362 로스쿨 들어오고나서 자괴감 ㅆㅆㅅㅌㅊ들때 17 new ㅇㅇ 2025.11.04 1
2361 로스쿨이 가성비가 좋은거같음 3 new ㅇㅇ 2025.11.04 2
2360 개업하기 싫으면 로스쿨을 대체 왜 고른거냐 16 new ㅇㅇ 2025.11.04 2
2359 로ㅡ퀴들아 형 급여받았다. 13 newfile ㅇㅇ 2025.11.04 1
2358 아 연퀴할배 오늘은 좀 웃기네 ㅋㅋㅋ 2 newfile ㅇㅇ 2025.11.04 0
2357 법률용어로 살펴보는 가짜광기와 진짜광기.txt 4 new ㅇㅇ 2025.11.04 1
2356 병신들이 설로를 못 가가지고 ㅋㅋㅋㅋ 8 new ㅇㅇ 2025.11.04 1
2355 올해 검사합격자 수 7 newfile ㅇㅇ 2025.11.04 1
2354 ???: 야게 코능이라고?? 5 newfile ㅇㅇ 2025.11.04 1
2353 면접책 내용 재밌고 다 좋은데 5 new ㅇㅇ 2025.11.04 2
2352 우리 건대는 학벌 안본다는 지식채널 교수 5 new ㅇㅇ 2025.11.04 0
2351 하루에 한번은 법전원갤 들어오면 개추 ㅋㅋㅋ 1 newfile ㅇㅇ 2025.11.04 0
2350 면스에서 고대 될 거 같다고 한 친구야 6 new ㅇㅇ 2025.11.04 0
2349 로스쿨 입시가 끝나가긴 하는구만 2 new ㅇㅇ 2025.11.04 0
2348 "리트봐도될까요?" 미쳐버리겠네ㅋㅋㅋ 3 new ㅇㅇ 2025.11.04 1
2347 의대가 갑이니 중경외시는 빡대가리니 백날 싸워도 4 new ㅇㅇ 2025.11.04 0
2346 씨발 이건 뭐 초딩새끼들도 아니고 6 new ㅇㅇ 2025.11.04 0
2345 나 자사고요~ 나 스카이요~ 4 newfile ㅇㅇ 2025.11.04 1
2344 중로 너무 적폐아니냐 9 new ㅇㅇ 2025.11.04 1
2343 지금 대학가기 어렵다는놈은 리트 105는 나오냐? 5 new ㅇㅇ 2025.11.04 1
2342 최근학번 대학가기 난이도 엄청 쉬워졌네 7 newfile ㅇㅇ 2025.11.04 0
2341 근데 여기 로갤인데 왜 계속 리트얘기 안하고 수능 얘기하는거임? 3 new ㅇㅇ 2025.11.04 0
2340 애매한 흙수저들아. 집안이랑 타협하지마라. 17 new ㅇㅇ 2025.11.04 0
2339 로스쿨 다니면서 느끼는건데 법조계 여자랑 7 new ㅇㅇ 2025.11.04 0
2338 여기는 믿고 걸러라 12 new ㅇㅇ 2025.11.04 0
2337 개념글 보고 쓰는건데 로스쿨 인간관계에서는 딱 2개만 지키면 된다. 5 new ㅇㅇ 2025.11.04 0
2336 한로 특) newfile ㅇㅇ 2025.11.04 0
2335 로스쿨 지원시 학부 학벌 정리 6 new ㅇㅇ 2025.11.04 1
2334 스카이 리트 망치면 안본척 한다는건 ㄹㅇ임 newfile ㅇㅇ 2025.11.04 1
2333 ‘연대평균리트 105’ new ㅇㅇ 2025.11.04 1
2332 사시노패스 교수들의 문제는 '학습자'입장을 모른다는 거임 4 new ㅇㅇ 2025.11.04 0
2331 제에발~~ 설로타령좀 그만해애~~~~ 5 newfile ㅇㅇ 2025.11.04 0
2330 설로라고 빅펌에 들어가는게 3 newfile ㅇㅇ 2025.11.04 0
2329 재학생들 공감하는 교수들 거르는법 9 new ㅇㅇ 2025.11.04 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68 Next
/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