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기

218.*.202.* 조회 수 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본인은 올해 로스쿨 입시가 처음이지만,

불확실함과 미지가 극심한 로입에서 살아남아보기 위해 최대한 많은 정보 취합을 위해 노력하며 연구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깨달은 몇가지 사항에 대해 공유하고자 함. 글쓰면서 나도 정리해보고.

1. 서류 평가 방식

좋은 정성요소, 좋은 자소서로 낮은 배수에서 역전하는 사례는 전국 어느 로스쿨이든 종종 나오고,

반대로 좋은 정량에도 탈락해버리는 사례 또한 많이 보인다.

그런데, 사실 역전이라는 것은

'나는 좋은 요소 갖고 있으니까 역전 하겠지 뭐~' 하고 쉽게 생각할 일이 아니고, 생각보다 쉽지 않을 일이다.

가상의 로스쿨 a가 있다고 하자.

a는 환산식 상 리트 한문제당 환산 점수가 1점이 오르고,

서류 영역 점수는 40점, 기본점수는 20점이다.

'오 그럼 서류로 20점이 움직이니까 여기 정성대네?'

라는 결론은 사실 앞서나간 것이다.

대부분의 지원자들은 자소서에 많은 공을 들이고, 나를 제외한 다른 지원자들 또한 20점 중 일부의 점수를 취득 할 것이다.

만약 지원자들이 평균적으로 받는 서류 점수가 13점 이라고 하자. 이정도면 대충 실질 점수에서 60%정도니까 합리적으로 점수를 주고 있는 편이다.

이 상황에서, 나는 정량이 1배수 컷보다 리트 7문제 정도 부족하지만 정성이 강한 상황이라 자소서로 밀어 붙이려 한다면,

사실 역전은 구조상 불가능에 가깝다.

편의상 나를 제외한 모든 지원자들이 13점을 취득한다고 할 때, 나 혼자 20점 만점을 취득해야 겨우 1배수 컷에 도달하는 상황이기 때문.

만약 a학교에서 대부분 지원자들에게 서류 점수를 후하게 줘서, 평균적으로 15점에 가까운 서류 점수가 형성된다면

역전은 더더욱 힘들어진다.

2. 각 대학의 내부 산식 별 현상

그렇다면, 어떤 학교가 어떤 식으로 점수를 뿌리는지 어떻게 유추해 볼 수 있을까?

이 답은 다름아닌, 합불 표본에 있다고 본다.

각 학교의 탈락자/ 합격자의 분포를 보면 그 학교의 정책을 엿 볼 수 있다. (여기서 부터 글의 핵심이다)

case1) 0.5배수 안 쪽 고정량 등수가 의문사 하는 경우가 나오는 학교

이러한 경우, 통념과 다르게, 해당 학교는 서류 점수에서 평균적으로 지원자들에게 높은 점수를 뿌릴 확률이 높다.

20점 중 대부분의 지원자들이 15점 근처에서 득점을 하고, 가끔 자소서에서 맘에 안드는 지원자들에게

압도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여, 높은 등수에서 뚝 떨어트리는 경우가 많은 것.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반대로, 낮은 정량을 가지고 역전하는 것 또한 어려워진다.

대부분 지원자가 서류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므로, 내가 서류에 강해서 만점을 받아봤자 점수를 많이 따라잡을 수가 없기 때문

case2) 아득히 먼 배수에서 대규모 역전이 일어나는 학교

이러한 경우, 해당 학교는 대부분 지원자들에게 서류평가에서 굉장히 낮은 점수를 부여할 확률이 높다.

20점 만점에 대부분의 지원자들이 5점 근처의 점수를 받는다.

그러나 학교는 정량이 낮더라도 맘에드는 초고정성자에게

압도적으로 높은 서류점수를 부여하여 역전시킬 수 있다.

위에서 예시로 든 가상의 a학교의 경우 15문제도 역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학교에서는 고정량이 의문사 할 확률은 적다.

대부분의 지원자가 어차피 낮은 점수를 받으니, 내가 자소서 좀 못쓴다고 해서 받는 패널티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런 경우에는 합격자의 분포가, 고정량은 대부분 합격/ 0.8배수 정도 부터 탈락자 빈번히 발생/ 밑에 배수에서 아득한 역전 존재

이렇게 생겨있을 확률이 높겠다.

case3) 고정량도 떨어지고 저정량도 붙고.. 혼돈의 장

이러한 학교는, 서류평가에서 '변별력'을 높인 경우일 것이다.

a학교에서 서류 점수 20점 중, 잘쓴 사람들은 만점에 가까이 줘버리고,

못쓴 사람들은 가차없이 0점에 가까이 줘버린다.

즉 못쓰면 그대로 갈려나가고 잘쓰면 훅 올라갈 수 있다. 애초에 점수 분산 자체가 높기 때문에

내가 20/20을 받아봤자 19점받은 사람, 18점 받은 사람도 꽤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고정성자들의 압도적인 역전은 노리기 힘들어진다.

각 케이스 별로 유리한 지원자를 정리해보면,

고정량 저정성: case 2가 가장 안전

저정량 고정성: case3가 가장 유리

초저정량 초고정성: case2가 가장 유리

둘다 보통: case1이 가장 안전

이정도가 되겠다.

영양가 있는 글인것 같으면 추천 부탁함. 피드백 매우 환영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화제의 글 언어 25개 이상 맞는 애들은 학부가 skye임?? new ㅇㅇ 2025.07.17 250 0
화제의 글 언어이해 시간부족런데 new ㅇㅇ 2025.07.17 67 0
화제의 글 실릿 20 30 목표인데 사설 19 29정도나옴 new ㅇㅇ 2025.07.17 205 0
화제의 글 추논 24가 25보다 어렵지 않음...? new ㅇㅇ 2025.07.17 218 0
화제의 글 ㅎㅋㅅ 6, 7회 평균 new ㅇㅇ 2025.07.17 57 0
» -로스쿨 서류 영역의 연구 1- new ㅇㅇ 2025.07.27 2 0
3957 -재시좆망이 진입할 사람에게 해주는 조언 (좆망각이면 진입마..)- ㅇㅇ 2025.02.24 246 0
3956 ? 전관금지입법글 왜 삭제함? ㅇㅇ 2025.02.21 119 0
3955 ??? : 저는 검사 질문했는데 왜 지워욧!!! ㅇㅇ 2025.02.22 140 0
3954 ??? : 학부 학벌이 ㄹㅇ 존나 중요하다 file ㅇㅇ 2025.02.22 201 0
3953 ???: 서울대에서는 인설미니 인식이 말이야~ new ㅇㅇ 2025.07.27 1 0
3952 ???: 야게 코능이라고?? file ㅇㅇ 2025.02.26 139 0
3951 ???: 학부학벌이 ㄹㅇ 존나중요하다 file ㅇㅇ 2025.02.20 275 0
3950 ???: 학부학벌이 ㄹㅇ 존나중요하다 file ㅇㅇ 2025.02.20 128 0
3949 ‘연대평균리트 105’ ㅇㅇ 2025.02.26 149 0
3948 (8회 변호사시험) 8기 vs 7기 합격률 file ㅇㅇ 2025.02.16 104 0
3947 (9/17) 성ㅡ균관대 로스쿨 메가 모의지원 현황 ㅇㅇ 2025.02.22 178 0
3946 (9/17) 성ㅡ균관대 로스쿨 메가 모의지원 현황 ㅇㅇ 2025.02.22 258 0
3945 (99%진지) 리트는 법학적성을 평가하는 아주 좋은 시험임 ㅇㅇ 2025.02.26 270 0
3944 (NEW) 2020년 로스쿨 10기 검찰심화 학교별 티오 ㅇㅇ 2025.02.19 250 0
3943 (sky로 인증) 솔직히 로클럭 대단한 거 맞음. file ㅇㅇ 2025.02.17 147 0
3942 (개념요청)아 고대학점? ㅇㅇ 2025.02.20 220 0
3941 (고파스 펌) 로스쿨 입시 절망편(학점 딸딸이 진압용) file ㅇㅇ 2025.02.19 155 0
3940 (고파스 펌) 로스쿨 입시 절망편(학점 딸딸이 진압용) file ㅇㅇ 2025.02.19 261 0
3939 (공식) 변호사시험 1기~8기 누적 합격률 (출처: 법률저널) file ㅇㅇ 2025.02.16 227 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8 Next
/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