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중반부터 워라밸은 생존의 문제다. 무리하면 진짜 죽는다.
일반회사 기준으로 20후반에 취업한다고 할때(전문직은 30초반) 처음에 2.3년은 어리버리타고 정신없이 배우는시기라 워라밸 고민할 겨를이 없는게 맞음. 아직 적응해야되니까 일따라가려면 야근.주말출근도 어쩔수 없이 해야되는데 근데 다행이 대학생생활하면서 쌓인 체력과 젊음으로 그럭저럭 버틸만함.
그런데 사회생활 3년이 넘어가고 30대가 되면 그때부턴 완전히 체력이 방전됨. 학생때 쌓아놓은 체력은 이미 다 고갈나고 체력적.정신적으로 소진된 상태임. 그래서 3년차에 퇴사증후군이 옴. 이때부터 살려고 운동하는 직장인들 많아짐.. 몸매관리말고 그냥 살려고.. 다행히 연차가 어느정도 찰수록 일이 숙련되서 초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업무가 수월해짐.
문제는 초반에 너무 무리해서 오버페이스하거나 짬이 차도 계속 무리할수 밖에 없는 환경에 놓인 사람들임.
이런 환경에 있는 사람들은 수년간 사회생활하면서 같은 부서에 있는 상사나 동료들이 몇명 과로사하거나, 암에 걸리는걸 보게됨.. 워라밸쓰레기라는 곳일수록 과로사.암 환자 많음.. 50대? ㄴㄴㄴ 보통 주력이 40대고 30대 과로사.암환자도 심심치 않게보임. 이런 사실을 외부에서 알수가 없음.. 좋은 이야기도 아니고 대부분 언론에도 안나고 조용히 묻힘.
20대 학식일때나 워라밸 우습게 보고 무조건 돈.야망 이러지. 30대만 되도 그냥 살고 싶어서 워라밸 찾게됨. 무슨 대단하게 취미생활이나 그 시간에 뭐 하려는게 아니야. 그냥 새벽출근.야근.주말출근 안하고 업무시간중 지나치게 과도하게 업무밀도 높은걸 피하자는거임.
그 사람들이 불성실하거나 체력이 안좋아서 워라밸 찾는게 아님. 배울만큼 배우고 성실한 사람들이 모인, 대기업.금융권 본사.중앙부처. 전문직 대형법인에서 주로 발생하는 일임.
물론 간혹 워라밸 포기하고 버티면서 건강도 안해치면서 수십년 버티는 진짜 대단한 분들도 있는데 몸 건강은 괜찮아도 정신건강이 맛이가서 소시오패스 성향 지니는 사람들이 많음. 지나치게 과도하게 조직내 지위.의전에 집착하거나 부하직원 업무외적으로 갑질하고.. 그러다가 퇴직하고나면 허망해서 우울증걸리고. 우울증으로 극단적 선택하거나.. 퇴직후에 긴장풀려서 갑자기 건강악화되서 몇년안에 죽던가..
워라밸을 안찾으면 건강이 박살나거나, 정신이 박살나거나 둘중 하나임.
괜히 현직들이 어느정도 먹고살만하면 무조건 워라밸 외치는게 아님..
-
언어 25개 이상 맞는 애들은 학부가 skye임?? 0
-
언어이해 시간부족런데 0
-
실릿 20 30 목표인데 사설 19 29정도나옴 0
-
추논 24가 25보다 어렵지 않음...? 0
-
ㅎㅋㅅ 6, 7회 평균 0
-
경북대 지ㅈ대로 뽑아 놓으니까 이미지 ㅆ창났네 0
-
걍 로스쿨은 성실성과 지능둘다본다고 생각해라 0
-
연로 메가 허위 표본 공작 의심하는 이유 0
-
근데 이거 보면 잘해봐야 sky평릿은 111 정도인데 0
-
자소서에 건강상 불이익 기재하지 마라 0
-
예비시험 도입되면 오히려 좋은 거 아니냐? 0
-
30중반부터 워라밸은 생존의 문제다. 무리하면 진짜 죽는다. 0
-
변시떨어졌는데 주변에서 ㅈㄴ 조롱하더라 0
-
지사립 지원자들 마인드 소름돋는다 0
-
니네 세종은 갈수있냐?? 0
-
[면접 정보] 부산로 면접 시뮬레이터 0
-
9시까지 추천>비추천시 자진사퇴 할게 0
-
피카츄 진지하게 파딱 해임 건의합니다 0
-
경찰대 로입.졸업 후 팩트만 말해준다. 0
-
얘네 셋 다 동일인물인거 같은데 0
-
참.. 피곤하게들 산다 새끼들아 0
-
로준생들은 사고회로가 특이한것 같음 0
-
성훌새끼들 존나 악질인거 이해는 한다 ㅇㅇ 0
-
진짜 로준생들이 제일 꽉막힘 0
-
요즘 힘들다는 변호사 취업시장 근황.jpg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