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기

218.*.202.* 조회 수 0 추천 수 0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경희-작년 학교 에타에 쓴 글 찾음(6~7분 만에 나옴)

경희대 면접 후기

주제: 자유주의 대 공동체주의

제시문 1번-터스키기 매독 생체실험 사건터스키기 매독 생체실험 사건에 대해서 빌 클린턴이 피해자와 그 가족들에게 사과한 글

제시문 2번-자유주의에 관한 설명

제시문3번-공동체주의에 관한 설명

제시문4번-성인(saint) 대 화자성인은 본성에 부응하여 도덕적 행위를 한 것은 도덕적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화자는 가능하다 의견

(기억나는 상세 내용: 화자가 성인에게 물었다. 당신 가족과 철저한 외부인 둘 다 동등한 부상을 입었을 때 누구를 구하는게 도덕적인가?성인: 내 가족을 구하고자 함은 본성이기에 도덕적 평가의 대상이 아니다.화자: 나는 성인의 의견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문제1. 제시문1의 빌클린턴의 사과 행위에 대하여 ‘항의’할 때 제시문 2와 제시문 3의 관점에서 각 항의가 타당한지 설명하시오.

문제2. 성인과 화자의 갈등 원인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성인’의 의견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

저의 답.

문1.제시문2의 관점에서 볼 때 항의 타당함제시문3의 관점에서 볼 때 항의 타당하지 아니함

이유:제시문 2의 관점으로 볼 때, 빌클린턴이 직접 터스키기 사건을 행하였거나 혹은 그 행위에 대해 동조하지 않았으면 사과할 필요성이 없음제시문 3의 관점으로 볼 때, 빌클린턴은 미국이라는 공동체를 대표하므로 이러한 사과가 정당함

문2.화자와 성인의 갈등 원인은 본성을 도덕의 평가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가 쟁점성인의 의견에 대한 저의 생각은 성인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함논거1. 내가 측은지심의 본성을 느껴 타인을 구한다면 그것은 도덕의 평가 대상이 아닌가?이러한 점에서 모순이라고 생각논거2. 공동체 유지를 위해서 나와 내 가족을 우선하는 것은 당연한 것, 비록 본성을 이겨내고 도덕적 행위를행하였다면 그 가치는 더욱 높아질 수 있으나 가치의 차이일뿐 도덕평가가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는 아니라고 생각

추가 논거 대려다가 논거2랑 겹쳐서 한 1분 넘게 절었습니다.

추가질문1. 문1 답 다시 한 번만 더 상세히 설명(여기서 나는 자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는데라는 소리 들음)

추가질문1. 답빌 클린턴이 터스키기 사건에 직접 가담하였거나 동조하지 않았다면 그에 대한 책임은 없고 따라서 사과의 필요성이 없기에 사과에 대한 항의 타당함

추가질문2. 공동체주의 관점으로 볼 때 성인의 의견이 타당하다고 볼 여지가 있는가?

추가질문2. 답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라 시간 달라고 요청,그 후 공동체주의에서는 공동체가 그동안 겪어온 역사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 만일 성인이 살아온 공동체가 본성을 도덕적 평가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으면 공동체주의의 관점에서도 성인의 의견이 타당하다고 생각

추가질문3. 터스키기 사건이 40년 동안이나 밝혀지지 않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

지도층 혹은 고위층의 조직적 은폐 때문이라고 생각, 따라서 공동체주의에 입각해 빌 클린턴이 사과한 것은 정당하다고 생각

---------------------------------------------------------------------------------------------------------------------------------------------------부산로(나) 면접 -6분 초도발언 4분 추가질문인데 나는 총 7분 55초만 쓴듯

부산로(나) 면접지문 첨언하자면, 이미 한국에서 2010년대 중반에 의료법개정으로 한 번 얘기가 있었던 사안(https://www.joongang.co.kr/article/12762145#home)

 

지문:a국은 병원명에 특정 질병명을 넣을 수 없다.예를 들면 홍길동 척추디스크 정형외과 불가홍길동 척츠디슥흐 정형외과 가능(그 외 전문의 제도 설명 해놨는데 사족이라고 생각함)

질문1.환자, 의사, 의료담당 공무원의 입장에서특정 질병을 병원명에 넣는것에 대하여 각각 찬 반 의견 말하시오.

질문2. 면접자 개인의 의견 말하시오.

질문1. 답

환자 찬성: 가시성 올라가 자신의 병에 적합한 병원 찾기 용이의사 찬성: 자신의 스페셜리티 홍보 용이(영어로 말함 순간 전문기술이라는 단어 생각 안남)공무원 찬성: 관리 용이, 예를 들면 민원인이 공무원에게 어떤 병원 가야하냐고 문의할 때, 병명이 병원명에 기재되어 있으면 훨씬 수월하게 설명 가능

환자 반대: 스페셜리티 하지 않고도 병명을 병원명에 기재하여 잘못된 처치를 받아 건강권 침해 가능의사 반대: 같은 병이라도 여러 스페셜리티가 다룰 수 있는데 (예를들면 허리디스크는 정형외과 척추전공이랑 신경외과 척추 전공) 혼란 가중 및 경쟁 심화 가능공무원 반대: 환자 반대와 마찬가지로 국민의 건강권 침해 가능

질문2. 답

부분적 찬성병원명에 특정질환 기재 위해서는 세부전공을 확인 받은 경우에만 허용예를들면 정형외과 전문의도 전문의 과정에서 척추를 주로 다룰 수도 있고, 골절을 주로 다룰 수도 있는데 골절 전공의가 척추디스크를 기재한다면 문제 발생 가능성 다분따라서 정형외과 전문의라도 세부전공으로 척추를 다룬 사람인지 확인 된 후에 척추디스크 기재 허용마찬가지로 내과도 세부전공으로 심장내과도 있을 것이고 감염내과도 있는데 이러한 세부전공 파악 후에 병명 기재 허용

여기까지 하고 약 4분 남음

추가질문1. a국 변호사는 어떠한 부가 활동 없이 —전문 변호사 기재 가능한데 어떻게 생각?

 

 

추가질문2. 의사랑 변호사랑 차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

답. 있다. 의사는 생명을 다루는 것이기에 조금 더 타이트하게 제한을 둘 필요가 있는 반면, 변호사는 생명보다는 재산 등을 다루기 때문에 조금 느슨하게 제한 조건 가능하다고 생각 다만, 두 분야 모두 전문성이 중요한 분야기에 제한조건이 있어야한다고 생각

--->여기서 조금 더 의사와 변호사 차이점 설명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고 생각함. 대충 의사의 전문성 요구성이 좀 더 높다는 것 등을 말하면 좋았을듯예를 들어 의사의 경우는 사안의 급박성이 있는 경우가 많고 외부의 조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의 스페셜리티에 적합하지 않은 환자를 받을 경우 위험도가 높으므로 제한을 타이트하게 둘 필요가 있는 반면, 변호사의 경우 의사와 달리 급박성이 상대적으로 덜하고, 외부의 조력을 받기 용이한 편이므로 제한을 조금 덜 타이트하게 두는 것도 괜찮다고 하면 어땟을까 함

추가질문3. (순서로는 첫번째 질문)전문의 제도가 이미 있는데 그래도 세부전공 파악해야하냐고 생각?

답. 그렇다. 초도발언에서도 말씀드린 것 처럼 같은 전문의라도 세부전공이 다르면 전문성이 달라지기 때문 예를 들면 같은 내과 전문의라도 심장내과를 세부전공으로 한 의사는 협심증 등을 다룰 수 있지만 감염내과를 세부전공한 의사는 전문성 발휘 힘들 것.

---------------------------------------------------------------------------------------------------------------------------------------------------------

경희로는 작년에는 면접의 중요성이 그리 크지 않았던 것 같음 올해는 어찌될지 모름(원장님도 바뀌고 해서) 그래도 너무 부담 갖지 않기를부산로의 경우는 자신있던 주제였는데도 조금 절었던 감은 있는데 그래도 못봤다는 느낌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최종 등수 거의 4~50등 가까이 밀린거 봐서는 자소서를 조금 유심히 본다던가 아니면 면접에서 원하는 답변이 아니었던 것 같음물론 전부 작년기준이고 올해는 어떨지 모르겠으나 부산은 조금 더 면접을 열심히 준비할 필요 있을듯

슬슬 1차 합격 발표 시즌이던데 다들 좋은 결과 있길 바라고, 떨어진 분들은 내년에는 좋은 결과가 있거나, 아니면 더 좋은 진로 찾으실 것이고, 붙은 분들은 면접 준비 잘 해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
  • ?
    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선배님 고소건은 어케 처리하시나요
  • ?
    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경희기출 너무 어려워요 ㅠㅠ
  • ?
    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면접 6-7분만에 끝?? 정량이 좋아서 큰 상관이 없었던겐가..
  • ?
    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머냐 너 나랑 같은 학교였냠
  • ?
    ㅇ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정량은 어느정도셨고 몇차합격인지 알려주실수있나요 - dc App
  • ?
    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학벌 때문에 밀린 거 같은데.. 중경외시면 부산로 힘들긴 해
  • ?
    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학부 어딘지 여쭤봐도 될까용
  • ?
    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답변은 잘하신거 같은데 기조발언 6분30초 못채우고 4분에 끊어서 좀 감점이 되신게 아닐까요 부로??
  • ?
    ㅇㅅ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나 부로 저거 최근에 풀었는데 저정도면 내용적으로는 답변 되게 잘한 것 같은데.. 경희 뚫은 자소서면 자소서에도 큰 문제 없을거고.. 6분30초 강조하는 거 보면 시간채우는게 중요하긴 한가보다
  • ?
    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군필이신가염?
  • ?
    ㅇㅇ 4시간 전 (218.*.202.*) 작성자
    부산대 책상 위에 시계 있냐? 전자시계인지도 궁금하고 몇분 남았습니다 이런거 해주는지도 궁금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화제의 글 왜 여기 올라오는 썰만 들어보면 로스쿨 인성 다 씹창남? 8 new ㅇㅇ 2025.11.04 0
화제의 글 정말 도저히 감이 안잡혀서 말씀 여쭙습니다 10 new ㅇㅇ 2025.11.04 0
화제의 글 김, 치, 볶 5 new ㅇㅇ 2025.11.04 0
화제의 글 12기의 로스쿨 CC 관련 조언 6 new ㅇㅇ 2025.11.04 0
화제의 글 합격 표본 재학생들 말 믿지마. 걔네 잘 모름 9 new ㅇㅇ 2025.11.04 0
2067 올바른 질문이 인생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끈다. 5 new ㅇㅇ 2025.11.04 0
2066 상처와 스트레스만이 가득했던 로입판 2년만에 떠납니다 모두 화이팅. 6 new ㅇㅇ 2025.11.04 0
2065 로스쿨 생각 있는 넘들은 건동홍부턴 오지마라 3 new ㅇㅇ 2025.11.04 0
2064 여기 분위기 개웃기네ㅋㅋㅋㅋㅋㅋ 5 new ㅇㅇ 2025.11.04 1
2063 논술은 누가봐도 개씹소리만 아니게 쓰면 된다 얘들아 3 new ㅇㅇ 2025.11.04 0
2062 19/18 실화냐 2 new ㅇㅇ 2025.11.04 0
2061 지금 여기서 리트 학원가라는 알바들 진짜 악질임 2 new ㅇㅇ 2025.11.04 0
2060 리트 점수가 잘 안나온 사람들을 위한 반수생의 진실된 조언 4 new ㅇㅇ 2025.11.04 1
2059 이번에 느꼈다. 강제동원령도 가기 만만하지 않다는거. 1 new ㅇㅇ 2025.11.04 0
2058 ※여기서 56개이상 맞은 사람 추천누르고 가삼※ new ㅇㅇ 2025.11.04 0
2057 얘들아 관광리트는 졸업하기 전에 봐야 관광리트인거야 2 new ㅇㅇ 2025.11.04 0
2056 개쳐발렸지만 후회는 없다. 3 new ㅇㅇ 2025.11.04 0
2055 개조진거같은데 갤 분위기는 좋아보여서 좆같으면개추..txt 3 new ㅇㅇ 2025.11.04 0
2054 논술 나 같은 사람 있냐? 3 new ㅇㅇ 2025.11.04 0
2053 오늘 늦잠자서 시험보러 못갔다… 5 new ㅇㅇ 2025.11.04 0
2052 집 LEET 행복 입시계획 철퇴의 날 !!! 7 new ㅇㅇ 2025.11.04 0
2051 혹시나 아무렇지도 않은 척 구석에서 편의점 삼김 먹는 친구들아 5 new ㅇㅇ 2025.11.04 0
2050 병신들 작년에도 20보단 무조건 쉬웠다 이 ㅈㄹ함 4 new ㅇㅇ 2025.11.04 0
2049 언추 둘다 존나쉽네ㅋㅋㅋ 2 new ㅇㅇ 2025.11.04 0
2048 제주대 합격만 시켜주신다면 1 new ㅇㅇ 2025.11.04 1
2047 작년보다 어려웠다 추 쉬웠다 비추 1 new ㅇㅇ 2025.11.04 0
2046 미리 알아두면 좋은 리트 후 제일 쓸데 없는 것 1 new ㅇㅇ 2025.11.04 0
2045 현재 시험장에 있는 13기특 4 new ㅇㅇ 2025.11.04 0
2044 논술 없애고 리트비 10만원으로 내려야함 new ㅇㅇ 2025.11.04 0
2043 강제동원령보다 지능 낮은거 같으면 개추 ㅋㅋ 3 new ㅇㅇ 2025.11.04 0
2042 추리 중간에 공부 안하겠다는 애새기 보고 웃음 터졌으면 개추ㅋㅋ new ㅇㅇ 2025.11.04 0
2041 1번부터 개조졌다 개추 1 new ㅇㅇ 2025.11.04 0
2040 강재동원령거렸는데 나보다 한참 윗급 인간들이었네 new ㅇㅇ 2025.11.04 0
2039 본인이 '부랑자' 능지같으면 개추ㅋㅋㅋ 2 new ㅇㅇ 2025.11.04 0
2038 법학전문대학원이 여러분을 기다린다매 1 new ㅇㅇ 2025.11.04 0
2037 쉬운거 같지만 본인은 조진 것 같으면 개추ㅋㅋ 1 new ㅇㅇ 2025.11.04 0
2036 난 어려웠다 개추좀 3 new ㅇㅇ 2025.11.04 1
2035 본인이 지금까지 잠을 안자는 이유.txt 2 new ㅇㅇ 2025.11.04 1
2034 지금 일어난 로붕이들 개추좀 1 new ㅇㅇ 2025.11.04 0
2033 지문 한번에 이해 안돼도 문제없던데 1 new ㅇㅇ 2025.11.04 0
2032 내일 상황 써준다ㅋㅋㅋㅋ 2 new ㅇㅇ 2025.11.04 3
2031 리트 마음 편하게 보고 오세요!! new ㅇㅇ 2025.11.04 3
2030 언어이해 멸망각 언제 뜨는지 알려준다. fact 1 new ㅇㅇ 2025.11.04 0
2029 99년생 있냐? 3 new ㅇㅇ 2025.11.04 1
2028 난 리트 보기전날 삼겹살에 소주 2병 마시고 잠 4 new ㅇㅇ 2025.11.04 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62 Next
/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