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기

218.*.202.* 조회 수 0 추천 수 0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경희-작년 학교 에타에 쓴 글 찾음(6~7분 만에 나옴)

경희대 면접 후기

주제: 자유주의 대 공동체주의

제시문 1번-터스키기 매독 생체실험 사건터스키기 매독 생체실험 사건에 대해서 빌 클린턴이 피해자와 그 가족들에게 사과한 글

제시문 2번-자유주의에 관한 설명

제시문3번-공동체주의에 관한 설명

제시문4번-성인(saint) 대 화자성인은 본성에 부응하여 도덕적 행위를 한 것은 도덕적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화자는 가능하다 의견

(기억나는 상세 내용: 화자가 성인에게 물었다. 당신 가족과 철저한 외부인 둘 다 동등한 부상을 입었을 때 누구를 구하는게 도덕적인가?성인: 내 가족을 구하고자 함은 본성이기에 도덕적 평가의 대상이 아니다.화자: 나는 성인의 의견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문제1. 제시문1의 빌클린턴의 사과 행위에 대하여 ‘항의’할 때 제시문 2와 제시문 3의 관점에서 각 항의가 타당한지 설명하시오.

문제2. 성인과 화자의 갈등 원인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성인’의 의견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

저의 답.

문1.제시문2의 관점에서 볼 때 항의 타당함제시문3의 관점에서 볼 때 항의 타당하지 아니함

이유:제시문 2의 관점으로 볼 때, 빌클린턴이 직접 터스키기 사건을 행하였거나 혹은 그 행위에 대해 동조하지 않았으면 사과할 필요성이 없음제시문 3의 관점으로 볼 때, 빌클린턴은 미국이라는 공동체를 대표하므로 이러한 사과가 정당함

문2.화자와 성인의 갈등 원인은 본성을 도덕의 평가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가 쟁점성인의 의견에 대한 저의 생각은 성인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함논거1. 내가 측은지심의 본성을 느껴 타인을 구한다면 그것은 도덕의 평가 대상이 아닌가?이러한 점에서 모순이라고 생각논거2. 공동체 유지를 위해서 나와 내 가족을 우선하는 것은 당연한 것, 비록 본성을 이겨내고 도덕적 행위를행하였다면 그 가치는 더욱 높아질 수 있으나 가치의 차이일뿐 도덕평가가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는 아니라고 생각

추가 논거 대려다가 논거2랑 겹쳐서 한 1분 넘게 절었습니다.

추가질문1. 문1 답 다시 한 번만 더 상세히 설명(여기서 나는 자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는데라는 소리 들음)

추가질문1. 답빌 클린턴이 터스키기 사건에 직접 가담하였거나 동조하지 않았다면 그에 대한 책임은 없고 따라서 사과의 필요성이 없기에 사과에 대한 항의 타당함

추가질문2. 공동체주의 관점으로 볼 때 성인의 의견이 타당하다고 볼 여지가 있는가?

추가질문2. 답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라 시간 달라고 요청,그 후 공동체주의에서는 공동체가 그동안 겪어온 역사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 만일 성인이 살아온 공동체가 본성을 도덕적 평가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으면 공동체주의의 관점에서도 성인의 의견이 타당하다고 생각

추가질문3. 터스키기 사건이 40년 동안이나 밝혀지지 않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

지도층 혹은 고위층의 조직적 은폐 때문이라고 생각, 따라서 공동체주의에 입각해 빌 클린턴이 사과한 것은 정당하다고 생각

---------------------------------------------------------------------------------------------------------------------------------------------------부산로(나) 면접 -6분 초도발언 4분 추가질문인데 나는 총 7분 55초만 쓴듯

부산로(나) 면접지문 첨언하자면, 이미 한국에서 2010년대 중반에 의료법개정으로 한 번 얘기가 있었던 사안(https://www.joongang.co.kr/article/12762145#home)

 

지문:a국은 병원명에 특정 질병명을 넣을 수 없다.예를 들면 홍길동 척추디스크 정형외과 불가홍길동 척츠디슥흐 정형외과 가능(그 외 전문의 제도 설명 해놨는데 사족이라고 생각함)

질문1.환자, 의사, 의료담당 공무원의 입장에서특정 질병을 병원명에 넣는것에 대하여 각각 찬 반 의견 말하시오.

질문2. 면접자 개인의 의견 말하시오.

질문1. 답

환자 찬성: 가시성 올라가 자신의 병에 적합한 병원 찾기 용이의사 찬성: 자신의 스페셜리티 홍보 용이(영어로 말함 순간 전문기술이라는 단어 생각 안남)공무원 찬성: 관리 용이, 예를 들면 민원인이 공무원에게 어떤 병원 가야하냐고 문의할 때, 병명이 병원명에 기재되어 있으면 훨씬 수월하게 설명 가능

환자 반대: 스페셜리티 하지 않고도 병명을 병원명에 기재하여 잘못된 처치를 받아 건강권 침해 가능의사 반대: 같은 병이라도 여러 스페셜리티가 다룰 수 있는데 (예를들면 허리디스크는 정형외과 척추전공이랑 신경외과 척추 전공) 혼란 가중 및 경쟁 심화 가능공무원 반대: 환자 반대와 마찬가지로 국민의 건강권 침해 가능

질문2. 답

부분적 찬성병원명에 특정질환 기재 위해서는 세부전공을 확인 받은 경우에만 허용예를들면 정형외과 전문의도 전문의 과정에서 척추를 주로 다룰 수도 있고, 골절을 주로 다룰 수도 있는데 골절 전공의가 척추디스크를 기재한다면 문제 발생 가능성 다분따라서 정형외과 전문의라도 세부전공으로 척추를 다룬 사람인지 확인 된 후에 척추디스크 기재 허용마찬가지로 내과도 세부전공으로 심장내과도 있을 것이고 감염내과도 있는데 이러한 세부전공 파악 후에 병명 기재 허용

여기까지 하고 약 4분 남음

추가질문1. a국 변호사는 어떠한 부가 활동 없이 —전문 변호사 기재 가능한데 어떻게 생각?

 

 

추가질문2. 의사랑 변호사랑 차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

답. 있다. 의사는 생명을 다루는 것이기에 조금 더 타이트하게 제한을 둘 필요가 있는 반면, 변호사는 생명보다는 재산 등을 다루기 때문에 조금 느슨하게 제한 조건 가능하다고 생각 다만, 두 분야 모두 전문성이 중요한 분야기에 제한조건이 있어야한다고 생각

--->여기서 조금 더 의사와 변호사 차이점 설명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고 생각함. 대충 의사의 전문성 요구성이 좀 더 높다는 것 등을 말하면 좋았을듯예를 들어 의사의 경우는 사안의 급박성이 있는 경우가 많고 외부의 조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의 스페셜리티에 적합하지 않은 환자를 받을 경우 위험도가 높으므로 제한을 타이트하게 둘 필요가 있는 반면, 변호사의 경우 의사와 달리 급박성이 상대적으로 덜하고, 외부의 조력을 받기 용이한 편이므로 제한을 조금 덜 타이트하게 두는 것도 괜찮다고 하면 어땟을까 함

추가질문3. (순서로는 첫번째 질문)전문의 제도가 이미 있는데 그래도 세부전공 파악해야하냐고 생각?

답. 그렇다. 초도발언에서도 말씀드린 것 처럼 같은 전문의라도 세부전공이 다르면 전문성이 달라지기 때문 예를 들면 같은 내과 전문의라도 심장내과를 세부전공으로 한 의사는 협심증 등을 다룰 수 있지만 감염내과를 세부전공한 의사는 전문성 발휘 힘들 것.

---------------------------------------------------------------------------------------------------------------------------------------------------------

경희로는 작년에는 면접의 중요성이 그리 크지 않았던 것 같음 올해는 어찌될지 모름(원장님도 바뀌고 해서) 그래도 너무 부담 갖지 않기를부산로의 경우는 자신있던 주제였는데도 조금 절었던 감은 있는데 그래도 못봤다는 느낌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최종 등수 거의 4~50등 가까이 밀린거 봐서는 자소서를 조금 유심히 본다던가 아니면 면접에서 원하는 답변이 아니었던 것 같음물론 전부 작년기준이고 올해는 어떨지 모르겠으나 부산은 조금 더 면접을 열심히 준비할 필요 있을듯

슬슬 1차 합격 발표 시즌이던데 다들 좋은 결과 있길 바라고, 떨어진 분들은 내년에는 좋은 결과가 있거나, 아니면 더 좋은 진로 찾으실 것이고, 붙은 분들은 면접 준비 잘 해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
  • ?
    ㅇㅇ 2025.11.04 19:18 (218.*.202.*) 작성자
    선배님 고소건은 어케 처리하시나요
  • ?
    ㅇㅇ 2025.11.04 19:19 (218.*.202.*) 작성자
    경희기출 너무 어려워요 ㅠㅠ
  • ?
    ㅇㅇ 2025.11.04 19:19 (218.*.202.*) 작성자
    면접 6-7분만에 끝?? 정량이 좋아서 큰 상관이 없었던겐가..
  • ?
    ㅇㅇ 2025.11.04 19:19 (218.*.202.*) 작성자
    머냐 너 나랑 같은 학교였냠
  • ?
    ㅇㅇㅇ 2025.11.04 19:19 (218.*.202.*) 작성자
    정량은 어느정도셨고 몇차합격인지 알려주실수있나요 - dc App
  • ?
    ㅇㅇ 2025.11.04 19:19 (218.*.202.*) 작성자
    학벌 때문에 밀린 거 같은데.. 중경외시면 부산로 힘들긴 해
  • ?
    ㅇㅇ 2025.11.04 19:20 (218.*.202.*) 작성자
    학부 어딘지 여쭤봐도 될까용
  • ?
    ㅇㅇ 2025.11.04 19:20 (218.*.202.*) 작성자
    답변은 잘하신거 같은데 기조발언 6분30초 못채우고 4분에 끊어서 좀 감점이 되신게 아닐까요 부로??
  • ?
    ㅇㅅㅇ 2025.11.04 19:20 (218.*.202.*) 작성자
    나 부로 저거 최근에 풀었는데 저정도면 내용적으로는 답변 되게 잘한 것 같은데.. 경희 뚫은 자소서면 자소서에도 큰 문제 없을거고.. 6분30초 강조하는 거 보면 시간채우는게 중요하긴 한가보다
  • ?
    ㅇㅇ 2025.11.04 19:20 (218.*.202.*) 작성자
    군필이신가염?
  • ?
    ㅇㅇ 2025.11.04 19:20 (218.*.202.*) 작성자
    부산대 책상 위에 시계 있냐? 전자시계인지도 궁금하고 몇분 남았습니다 이런거 해주는지도 궁금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화제의 글 빅펌 가는 이유를 모르나보네. 워라밸 운운하고 5 new ㅇㅇ 2025.11.05 3
화제의 글 미필게이들 많은거 같은데 11기 게이가 정리해준다 5 new ㅇㅇ 2025.11.05 4
화제의 글 지방로스쿨 입학생 늙은이 9 new ㅇㅇ 2025.11.05 3
화제의 글 스랖 의무새들이 발광해도 여기는 효과없는 이유: 10 new ㅇㅇ 2025.11.05 3
화제의 글 로1~2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9 new ㅇㅇ 2025.11.05 1
2548 난 성로가 잘됬으면 하는게 5 new ㅇㅇ 2025.10.23 2
2547 사시 끝물 혼돈기의 신규검사, 학부별 1 newfile ㅇㅇ 2025.10.23 1
2546 성대가 삼성재단이라 실력자체를 보려는 경향이 있음 2 new ㅇㅇ 2025.10.23 2
2545 ■ 어느 로스쿨 갈 거냐? (부제: 3년/4년 후 변호사 될 확률?) 3 newfile ㅇㅇ 2025.10.23 4
2544 유투버 엄마인지 엠마인지 변시떨어짐? 5 new ㅇㅇ 2025.10.23 2
2543 SKY 로스쿨 애들 진짜 이런 식으로 공부하냐?? 3 new ㅇㅇ 2025.10.23 3
2542 30대 문과 고시.취업판 회상한다. new ㅇㅇ 2025.10.23 3
2541 의대새기들 무슨 한달2,300막변 붙잡고 낑낑대는거 역겹넹 4 new ㅇㅇ 2025.10.23 2
2540 변호사 10년후 4만명 20년후 6만명 2 new ㅇㅇ 2025.10.23 2
2539 한양대 학부에 짓밟힌 좆밥 성대학부 1 newfile ㅇㅇ 2025.10.23 3
2538 로클럭은 진짜 개거품임 2 newfile ㅇㅇ 2025.10.23 2
2537 SKY로 최상위권이 로클럭을 기피하는 이유 1 newfile ㅇㅇ 2025.10.23 3
2536 성대학부가 좆밥 취급당하는 이유 1 newfile ㅇㅇ 2025.10.23 4
2535 경북대나 부산대 등 지거국 개판인 이유는 8 new ㅇㅇ 2025.10.23 3
2534 연고대 븅신들이 로클럭 까는 이유 : 여우의 신포도 1 newfile ㅇㅇ 2025.10.23 2
2533 경력판사, 로펌 뜨고 로클럭 지고 1 newfile ㅇㅇ 2025.10.23 2
2532 지거국 로스쿨이 ㅂㅅ인 이유 2 new ㅇㅇ 2025.10.23 1
2531 좆밥 성대학부가 돌대가리 소리 하네 3 newfile ㅇㅇ 2025.10.23 2
2530 로스쿨 출신 차별도 로클럭 기피의 원인 중 하나일 듯 4 new ㅇㅇ 2025.10.23 2
2529 검사 좆된다고 노래부르는새끼 특징ㅋㅋ 2 newfile ㅇㅇ 2025.10.23 2
2528 검사 좆됐다고 노래부르는애 누구냐면 1 newfile ㅇㅇ 2025.10.23 3
2527 내년에 변시합격자 2000명 나오는거 아니냐? newfile ㅇㅇ 2025.10.23 2
2526 2012년~2019년 8년간 로스쿨별 검ㆍ클 아웃풋 순위 newfile ㅇㅇ 2025.10.23 2
2525 2015~2018년 4년간 로스쿨별 판사 아웃풋 순위 newfile ㅇㅇ 2025.10.23 3
2524 변호사법 중 변호사 영업관련 법만 폐지하면 시장 100%커짐 3 new ㅇㅇ 2025.10.23 3
2523 로스쿨 서열을 매기는 사람들이 착각을 하는게 1 newfile ㅇㅇ 2025.10.23 2
2522 한국 변호사 시장이 좆망인 이유 newfile ㅇㅇ 2025.10.23 1
2521 니들 실망할까봐 미리 말해주는데 1 new ㅇㅇ 2025.10.23 2
2520 생재시해서 리트 올렸다 2 newfile ㅇㅇ 2025.10.23 3
2519 올해 검사 임용 출신학부중에 사이버대 있는거 아냐? 10 newfile ㅇㅇ 2025.10.23 2
2518 혹시나하는말인데 연봉 절대 떠벌리고 다니지마라 new ㅇㅇ 2025.10.23 3
2517 절대 가서는 안되는 로스쿨 7 new ㅇㅇ 2025.10.23 3
2516 지금 로스쿨 다니는 애들 너무 불쌍하다 2 new ㅇㅇ 2025.10.23 1
2515 여기에서 로스쿨이랑 검사 변호사 깐다고 폐시생이라고 하는놈들 3 new ㅇㅇ 2025.10.23 2
2514 밑에 로스쿨가면 뭐 미친 글을보고 2 new ㅇㅇ 2025.10.23 1
2513 ◈◈로스쿨 준비생 필독◈◈ 변호사시험 초시, 재시 합격률 newfile ㅇㅇ 2025.10.23 1
2512 로스쿨 다니거나 지망생중에 주제파악 못하는 애들 많은데 5 new ㅇㅇ 2025.10.23 2
2511 밑에새끼는 봐라 대한민국직업이 의사와 떨거지인이유 3 new ㅇㅇ 2025.10.23 2
2510 로스쿨 다니면서 본 미친년놈들 몇 종류 8 new ㅇㅇ 2025.10.23 3
2509 서로연 진짜 빨갱이 커뮤니티네 ㅋㅋㅋ 8 new ㅇㅇ 2025.10.23 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70 Next
/ 70